티스토리 뷰

목차



    최근 발생한 응급실 거부 사태는 여러 가지 복합적인 문제로 인해 발생했습니다. 

     

    가족중 응급환자가 있다면 혹시모를사태에 대비하기 위해서라도 또한 이것은

     

    다른사람의 일이 아닌 내게 닥친 일이라는 생각으로 요즘 상황에 대해 알아야할필요가 있습니다.

     

    이 상황에 대한 주요 원인과 상황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응급실 거부사태에 대한 주요 원인과 사례 정부의 해결방안은?
    응급실 거부사태에 대한 주요 원인과 사례 정부의 해결방안은?

     

    응급실 거부사태에 대한 주요 원인과 사례 정부의 해결방안

    주요 원인

    1. 의료 인력 부족
     많은 병원에서 응급의학과 전문의와 전공의의 부족으로 인해 응급실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특히, 전공의 이탈 이후 남은 의료진이 과중한 업무를 감당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2. 배후 진료 붕괴
     - 응급실에서 초기 진료를 받은 환자가 이후 전문 진료를 받기 위해 다른 진료과로 인계되어야 하지만, 배후 진료과의 인력 부족과 번아웃으로 인해 원활한 진료가 어려운 상황입니다.

    3.정부 지침
     - 최근 보건복지부는 응급의료법상 진료 거부의 정당한 사유를 명시한 지침을 발표했습니다.

    이는 응급의료기관이 인력이나 시설 부족으로 적절한 응급의료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 진료를 거부해도 처벌하지 않겠다는 내용입니다.

    이 지침은 의료진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것이지만, 환자단체와 소방노조 등에서는 오히려 응급실 대란을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최근 사례

    ※추석 연휴 응급실 이송 거부
      - 추석 연휴 동안 여러 응급환자가 병원을 전전하며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는 사례가 발생했습니다.

    충북에서는 하혈 중인 임신부가 70곳 넘는 병원을 전전했고, 광주에서는 손가락이 절단된 환자가 전주까지 이송되어 2시간 만에 수술을 받았습니다.

    해결 방안

    1. 의료 인력 확충
       - 의대 정원 확대와 함께 응급의료 인력의 처우 개선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의료진의 번아웃을 줄이고, 응급의료체계를 안정화할 수 있습니다.

    2. 배후 진료 강화
       - 각 진료과의 외래 진료 비중을 줄이고, 중증 환자와 응급 환자 진료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응급의료기관 간의 협력체계를 강화하여 응급환자가 적절한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3. 경증 환자 분산
       - 경증 환자는 동네 병의원으로 분산시켜 응급실의 부담을 줄여야 합니다.

    이를 위해 정부가 재정을 투입해 일차의료 기관의 야간진료를 활성화하는 방안이 필요합니다.

    반응형